연말정산 경각심
본 게시물은 사회 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준비의 필요성과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글로 혹여나 연말정산 준비를 해봤으며 글 읽기에 시간이 부족한 분들은 아래 링크로 바로 가시면 됩니다.
제가 회사 2년차 사원일 때,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다 준비해주니 그러겠거니 가만히 있다가 2월 월급이 반토막나는 사건이 있었어요. 누군가 미리 알려주었으면 좋았을텐데... 제 주변에는 경제에 관심이 별 없어서 오히려 제가 공부하며 가르쳐주고 있네요.
사회 초년생 여러분... 회사에서는 연말정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이지 세금이 많게 나오든 적게 나오든 상관 안해요~ 자신의 월급은 자신이 지켜야죠! 아마 대부분 회사 사원분들은 2년차 때 처음 연말정산을 하며 13월의 월급을 받았을 것 이에요. 그 때는 인턴 사원이나 수습 사원하면서 월급을 조금 적게 받으니 소득이 적어 보통 연말정산하며 환급 받더라구요. 그러다보니 세금 무서운 줄 모르고 연말정산에 대한 지식없이 돈을 무작정 그냥 아끼며 저축만 하다보면 1년에 12번 받아야 할 월급을 누구는 13번 받고다른 누구는 11번만 받을 수 가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연말정산으로부터 월급을 지켜라!
짜란~
아, 물론 연말정산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 월급을 받을 때 원천징수라고 꼬박꼬박 세금을 내는데 1년에 한 번 미리 낸 세금과 실제로 내야할 세금을 일정한 기준으로 비교하여 오차를 줄이겠다는 요지예요. 그래서 연말정산 할 때 비교하는 여러 기준이 있는데 뭐 여기서 각 항목당 자세히 얘기하기보다 연말정산을 준비할 때 "사회 초년생 분들 관점"에서 "좋을 정보다 싶은 팁들"을 짤막하게 정리해봤어요.
연말정산할 때 여러 항목들이 있지만 어떻게 못하는 것들이 많이 있어요. 예를 들자면, 연금보험료나 국민건강보험료나 의료비 등 있어요. 농담으로 연말정산 의료비 세금혜택을 많이 받으려고 일부로 병원가는건 좀 아니잖아요. 제가 사회 초년생일 때 부터 연말정산을 대비하여 준비한 것들은 주택청약, 보험료, 연금저축, 카드공제 이렇게 총 네 가지 항목들이에요.
당시 전 기부가 없는 싱글남이라... 기부금이있거나 결혼 및 자녀가 있으면 기부금 공제와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그냥 무턱대고 돈을 모은다고 잘하는 것이 아닙니다. 돈을 모으더라도 계획있게 효율적으로 모아야해요. 제가 사원 2년차일 때 월급의 75%는 적금으로 무작정 넣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연말정산 때 세금 폭탄을 맞았고 연말정산 공부를 하여 위 네 가지 항목을 위주로 계획적으로 돈을 모았더니 기존 급여의 75%를 모으면서도 연말정산에서도 무난히 넘어가더라구요.
참고로 이 글은 특정 상품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항목들에 대해 소개 및 제 주관적 의견이니 여러분들도 위 네 가지 항목들은 꼭 읽어보고 자신 소득과 소비에 맞게 계획을 짜서 이번 연말정산을 대비해요. 그럼 각 항목들에 대한 글은 완성하는대로 아래에 링크를 달아둘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