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정보

연말정산 주택청약 및 보험료 for 사회초년생

CumBa 2018. 11. 9. 19:01

 

연말정산 주택청약 및 보험료
연말정산 주택청약 및 보험료

 

연말정산 주택청약 및 보험료

 

지난 시간 사회 초년생을 위한 연말정산 INTRO 부분을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 항목 중에서 주택청약보험료 공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볼게요. 혹시 관련 내용 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하여 아래에 링크 달아둘게요.

 

경각심을 일깨우는 편

연금저축 편

카드공제 편

 

 

먼저 주택청약부터 보자면 1년에 총 납입한 금액 중 240만 원까지 무려 40%! 소득공제를 해줍니다. 40%면... 다른 것들에 비해 큰 비율이죠. 1년간 주택청약 통장에 240만 원을 넣으면 240만 원*40% 인 96만 원이 소득공제가 돼요.

 

연말정산을 조사해보면 알겠지만 항목들의 조건에 따른 비율들이 많아요. 주택청약은 총 급여 7 천만 원이면서 무주택 세대주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간혹 주변에 보면 사회 초년생이며 총급여가 7천만 이상이신 부러운 분들이 있더라고요.... 하지만 우리는 그만큼 급여를 못 받는 대신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에 위로(?)를 받읍시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조건에 만족한다면 꼭! 주택청약 가입한 은행에 신분증과 등본을 가지고 찾아가서 무주택 확인서를 발급받고 연말정산 시 제출을 해야 해요. 확인서는 한 번만 제출하면 되니 다음 해에 또 제출할 필요는 없어요.

 

여담으로 주택청약 통장은 분양 시 꼭 필요한 통장이니 총급여가 7천만 원이 넘더라도 없으면 만들어서 매 월 조금씩 넣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주택청약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분들 중에 소득에 여유가 조금 된다면 매월 20만 원씩 꾸준히 넣어서 1년 동안 240만 원씩 모으는 것은 어떨까요? 뭐.. 돈도 저축되며 소득공제도 되고 분양 시 필수 조건이니 일타삼피이네요.

 

 

다음 보험료 항목에 대해 알아볼게요. 여기서 보험은 자동차 보험, 상해 보험 같은 만약을 대비해서 들어두는 보장성 보험을 말해요. 보장성 보험은 조건 없이 간단하게 연간 한도 납입 금액 100만 원으로 납입 금액의 12% (지방소득세 포함 시 13.2%)를 세액 공제받을 수 있어요. 즉 1년 동안 보험으로 100만 원을 납입했다면 12만 원 (지방소득세 포함 시 13만 2천 원)을 세액 공제받을 수 있어요.

 

보험은 말 그대로 만약을 위한 것이라 많이 들 필요는 절~대 없습니다. 보험료를 가입할 때는 보험을 돌려받을 것이라는 생각보다 혹시나 큰일이 났을 때를 대비하여 돈을 모은다기보다 지출한다고 생각해야 해요. 세액 공제 때문에 불필요한 보험을 가입하고 그러지는 마세요.

 

건강 사정이나 생활 형편에 따라 개인마다 보험료 납부 편차가 있겠지만 제 주관적으로는 한 달에 총 보험료 납입으로 최대 8~9만 원까지 적당하지 않나 싶네요. 만약 현재 10만 원이 넘어가면 보험 리모델링도 한번 생각해보셔야 할 듯해요.

 

여기까지 연말정산 중에 주택청약과 보험료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이번 기회를 통해 주택청약으로 얼마나 넣을 것인지 보험은 어떤 것을 가입할 것 인지는 개인 사정에 맞게 계획을 짜보는 것을 어떨까요? 그럼 다음은 연말정산 항목 중 연금저축에 대해 알아볼게요. 관련된 글은 아래 링크 걸어둘 테니 참고하세요~참고하세요~

 

경각심을 일깨우는 편

연금저축 편

카드공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