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든지 부동산을 하든지 어떤 것을 처음 투자할 때 어떤 곳에 얼마를 넣을 것인지 그런 정보들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세금이나 수수료 같은 부가적인 지출 금액을 알아야 합니다. 수익을 수치상 실컷 500만원 벌었고 내 손에 300만원만 쥐어진다면 사라진 200만원이 참 아깝잖아요. 그래서 이번에는 주식을 할 때 내야 하는 세금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주식을 할 때는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이라면 크게 세 가지를 보시면 됩니다.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수수료 & 증권거래세입니다. 그 중 이번 글에서는 양도소득세에 대해 쓰고자 합니다.
참고로 대주주가 이런 글을 찾아 볼 일은 없을 듯하고 소액주 대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로 현재 대주주 기준은 코스피 1%, 코스닥 2% 이거나 한 종목이 10억원 이상인 대상자들이며 23년부터 직계가족 합산 3억으로 줄어든다고 하니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주식에서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란 팔 때 얻었던 소득에 대한 세금입니다. 따라서 주식을 팔아서 1년 동안 얼마를 벌었는지에 대해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벌었다는 말은 팔아서 얼마나 수익을 취하였는지 얘기하는 것입니다. 주가가 오르더라도 팔지 않았다면 양도소득세 대상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어서 보겠습니다.
- 예시 1)
작년 초 A 주식을 1000원에 사서 팔지 않고 지금 5000원이 되었지만 팔지 않고 지금까지 계속 들고 있었다면 양도소득세 대상이 없습니다. - 예시 2)
작년 초 A 주식을 1000원, B 주식을 1000원에 사서 작년 말 A 주식을 4000원 일 때, B 주식을 500원 일 때 팔았다면 A주식에 대하여 3000원 벌고 B주식에 대하여 500원 적자를 봤으니 1년 동안 총 2500원에 대하여 소득이 있었기에 2500원을 양도소득세 대상입니다. 소득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보기 때문에 1년 총 소득금액이 암울하게 적자이면 낼 양도소득세 대상은 없습니다. - 예시 3)
작년 초 A 주식을 1000원, B 주식을 1000원에 사서 작년 말 A 주식을 4000원 일 때, B 주식을 500원 일 때 팔고 번 돈으로 모두 C 주식을 사서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는 것이 돈이 아니라 주식이더라도 작년에 팔 때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1년 총 소득금액 2500원으로 양도소득세 대상입니다.
현재 국내 주식 소액주 대상으로는 양도소득세가 비과세로 낼 세금은 없습니다. 하지만 해외주식 같은 경우는 어느 나라, 어느 증권사 불문하고 다 합쳐서 1년 동안 번 돈의 250만원을 빼고 나머지 250만원 초과 금액에 대하여 22%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 또한 몇 가지 예시로 보겠습니다.
- 예시 1)
작년 초 국내 주식 A를 100만원, 미국 주식 B를 100만원에 사서 작년 말 A를 300만원, B를 300만원에 팔았다면 A는 국내 주식 소액이라 비과세고 B 주식은 200만원을 벌었지만 250만원 공제를 하고 나면 남는 것이 없어서 양도소득세를 낼 것 이 없습니다. - 예시 2)
작년 초 미국 주식 B를 100만원, 중국 주식 C를 100만원에 사서 작년 말 B를 300만원, C를 300만원에 팔았다면 B 주식으로 200만원 벌고 C 주식으로 200만원 벌었습니다. 그럴 경우 총 400만원 소득이기에 여기서 250만원을 뺀 150만원에 대하여 양도소득세 대상입니다.
참고로 2023년부터는 국내 주식에서 대주주 기준 변경을 더불어 5000만원 공제 후 양도소득세가 측정이 된다고 하니 이 또한 어떻게 될지 지켜봐야 할 듯합니다.
그러면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보통 적자인 주식을 매도 후 재매수를 하던가 아니면 증여로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 등 몇 가지가 있긴 한데 저는 재매수하는 방법, 연말에 양도소득 250만원 맞추기로 양도소득세를 줄입니다. 공부를 하고 포트폴리오로 분산투자를 하면 보통 한 종목에만 투자를 하진 않을 것 입니다. 그렇게 여러 종목들을 투자하면서 많이 하락하는 것들이 생길 때 일단 그 종목을 팝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볼 때 오를 것이라고 판단이 되면 다시 해당 종목을 재매수하고 그게 아니라 털어야 할 종목이라면 다른 종목을 찾아 매수합니다. 그리고 연말에 되어서 양도소득이 250만원되지 않았다면 수익을 내고 있는 몇 가지 종목을 팔아서 소소하게 해당 연도 양도소득세 공제를 맞추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양도소득세를 알아보았습니다. 나머지 것들에 대해서는 글들은 아래에 링크 걸어두겠습니다.
주식 거래 시 알아봐야 할 세금 배당소득세에 대해 알아보자
주식 거래 시 알아봐야 할 세금 수수료 및 증권거래세에 대해 알아보자
* 이 글은 투자 추천 글이 아닌 단순 정보 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든 투자에 대한 판단과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